용고뚜리 용고뚜리;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, 옛날에 용귀돌(龍貴乭)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담배를 무척이나 좋아해서 담뱃진이 뇌속에 꽉차 스스로 돌로 머리를 깨고 냇물에 가서 씻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. 이 `용귀돌'이 변하여 생겨난 말이다. 기타/우리말 유래 2006.06.10
십상 십상이란; 썩 잘 된 일이나 물건을 두고 이르는 말로, 황금(黃金)의 품질을 십등분한 것중의 제1등품을 십성(十成)이라고 하는데 이 십성이라는 말이 변하여 십상이 되었다. 기타/우리말 유래 2006.05.08
수작(酬酌) 수작 ; 서로 말을 주고 받음, 또는 다른 사람의 언행을 업신여겨 이르는 말. 원래는 술잔을 주고 받는다는 뜻으로 쓰였으나 술잔을 주고 받는 것이 말을 주고 받는 것과 흡사한데서 발전되어 생긴 말이다. 기타/우리말 유래 2006.04.21
밀양놈 쌈하듯 밀양놈 쌈하듯; 단번에 결판을 내지 않고 옥신각신 실랑이를 오래하는 모양. 임진왜란 때 경남 밀양(密陽)에서 벌어진 싸움이 매우 오래 계속 되었다는 데에서 유래된 말이다. 기타/우리말 유래 2006.03.02
악대 같다 악대 같다 ;악대는 원래 거세(去勢), 즉 불알을 깐 짐승을 가리키는데 불알을 깐 짐승은 살 만 투실 투실 찌고 둔하다는 데서 온 말로 `미련하거나 기운이 세고 많이 먹는 사람'을 가리키는 말이다. 기타/우리말 유래 2006.02.16
씨 보고 춤춘다 오동나무 씨를 보고 이것을 심어 장차 자라서 큰 나무가 되면 베어서 가야금을 만들 것을 생각하고 미리 춤춘다는 데서 비롯된 말로 너무 일찍 서두르는 모양 즉, 김칫국 먼저 마시는 행동을 비유하는 말이다. 기타/우리말 유래 2006.02.09